지부티 (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부티는 지부티 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1888년 프랑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홍해와 아덴만에 접한 전략적 요충지로, 프랑스 식민지 시대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의 수도였으며, 1977년 지부티 독립 이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다민족, 다문화 도시로, 주요 산업은 무역이며, 지부티 항을 통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중요한 무역 거점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부티의 도시 - 디킬
디킬은 지부티 북부 에티오피아 국경 근처의 도시이자 주로, 아파르족과 이사족의 마을에서 시작되어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시대 요새가 건설되었고, 지부티 독립 후 주가 되었으며, 농업, 교역, 산악 지형, 사막 기후를 특징으로 하고 선사시대 유적이 발견된 역사 깊은 지역이다. - 지부티의 도시 - 아르타 (지부티)
지부티에 위치한 아르타는 해발 755m 고원에 자리 잡고 아르타 산맥이 보이는 도시로, 중세 시대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프랑스 소말리랜드 시대에 발전했으며, 2000년 소말리아 평화 회담 개최지였고, 현재는 이사 소말리아인이 주를 이루며 그리스, 에티오피아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음바바네
음바바네는 엠짐바 산맥에 위치하며 관광과 사탕수수 수출에 의존하는 에스와티니의 수도이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튀니스
튀니지는 튀니지의 수도이자 북아프리카 주요 도시로서, 고대 카르타고 위성 도시에서 로마 시대 농업 중심지를 거쳐 아랍 왕조들의 지배와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지나 튀니지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 도시 시설이 공존한다. - 행정 구역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행정 구역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지부티 (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좌표 | 북위 11° 35' 40" 동경 43° 08' 53" |
해발 고도 | 14m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지부티 |
다른 이름 | 아랍어: 프랑스어: 소말리어: 아파르어: |
별칭 | 타주라 만의 진주 |
행정 구역 | 지부티 주 |
하위 구역 | 35개 하위 구역 |
이미지 | |
![]() | |
![]() | |
역사 | |
설립 | 1888년 |
행정 | |
시장 | 사이드 다우드 |
인구 통계 | |
2024년 추정 인구 | 776,966명 |
인구 밀도 | 킬로미터 당 4,499명 |
도시 인구 | 알 수 없음 |
경제 및 개발 | |
HDI (2018년) | 0.549 (낮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동아프리카 시간 |
UTC 오프셋 | +03:00 |
지역 번호 | +253 |
ISO 코드 | DJ-DJ |
2. 역사
지부티 동부 해안선에는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 정착의 증거가 있다.
19세기 후반, 프랑스는 이사족 및 아파르족 술탄들과의 조약(1883년-1887년)을 통해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시작했다.[3][4][5] 1888년, 프랑스는 전략적 요충지인 이곳에 지부티 시를 건설했으며, 1896년에는 오보크에서 이곳으로 행정 중심지를 옮겨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의 수도로 삼았다.[8][44][45]
20세기 초 에티오피아-지부티 철도가 아디스아바바까지 개통되면서(1917년), 지부티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주요 외항으로 기능하며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했다.[46] 도시는 점차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하라리 커피와 카트 등 에티오피아 남부 및 오가덴 지역의 주요 수출항이 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 이후 비시 프랑스의 통제 하에 있었으나, 1942년 말 연합국에 의해 해방되었다. 전쟁 후 1946년 프랑스 제4공화국의 해외 영토 지위를 얻었으며, 항만 시설 확장과 자유 항구 지정 등 경제 발전을 위한 조치가 시행되었다.
1960년대 독립 요구가 거세지면서 1966년 샤를 드골 대통령 방문 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5][12] 1967년 국민투표를 거쳤다.[12][13][14] 결국 1977년 6월 27일, 지부티는 독립을 선언하고 지부티 공화국의 수도가 되었다.[15] 당시 지부티 시의 인구는 11만 명을 넘어섰다.
2. 1. 초기 정착과 프랑스 식민지 시대
지부티 동부 해안선에는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 정착의 증거가 있다.
1862년부터 1894년까지 타주라 만 북쪽의 땅은 ''오보크''라고 불렸으며 이사족과 아파르족 술탄들이 통치했다. 프랑스는 이 지역에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1883년에서 1887년 사이에 이들 지역 당국과 여러 조약을 체결했다.[3][4][5] 1888년 2월 2일과 9일의 프랑스-영국 외교 문서 교환을 통해 양국 식민지 간의 영토 경계가 정해졌고, 프랑스 식민 제국은 타주라 만 남쪽 해안, 침수되지 않는 고원, 그리고 라스 지부티로 구성된 반도를 확보했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던 라스 지부티는 프랑스가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한 교두보가 되었고, 이후 하라르로 향하는 대상들의 출발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이전까지 무인도였던 해안가에 1888년 지부티를 건설했다. 항만 수용 능력과 하라르와의 근접성 면에서 오보크보다 우월했기 때문이라는 기록이 있다.[6] 프랑스 도착 전, 라스 지부티에서 남쪽으로 약 3km 떨어진 곳에 암불리라는 작은 마을이 있었다. O.G.S. 크로포드는 암불리를 무하마드 알-이드리시의 1192년 지도에 나타나는 '칸발라'나 13세기 베네치아 여행가 브라가디노가 에티오피아에서 8년간 머물렀다고 언급한 도시 '캄발레'와 동일시하기도 한다.[7] 1896년, 프랑스는 행정 중심지를 오보크에서 지부티로 옮겨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의 수도로 삼았다.[8][44][45]
프랑스가 이 지역을 식민지화한 주된 목적은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 가는 무역로를 다른 유럽 열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었다. 이후 에티오피아-지부티 철도가 건설되면서 도시는 크게 성장했다. 1902년에는 에티오피아의 디레 다와까지, 1917년에는 아디스아바바까지 철도가 개통되었다.[46] 이 철도는 지부티에게 에티오피아 제국이라는 광대한 배후지를 제공했고, 에티오피아의 주요 외항으로서 경제적 중요성을 높였다. 1895년 지부티의 인구는 이미 5,000명에 달했으며, 많은 이사족과 아파르족 유목민들이 정착하여 초기 하역부 노동력을 구성했다. 프랑스인과 원주민들은 호텔, 주택, 모스크, 교회를 건설했고, 예멘, 이집트,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이탈리아 상인들이 몰려들었다. 암불리의 비옥한 남부 지역은 대추야자 농장과 과수원으로 번성했다. 1896년 레옹 라가르드가 프랑스령 소말리 해안의 첫 총독이 되었다. 20세기 초 지부티의 인구는 10,000명에 달했고 주요 지역 항구로 간주되었으나, 주된 역할은 여전히 인도차이나나 마다가스카르로 향하는 프랑스 선박에 대한 보급이었고 연간 처리 화물은 15만 톤 수준이었다.
프랑스의 초기 상업적 노력은 정부 지원이 필요할 정도로 부진했지만,[9] 에티오피아-지부티 철도는 성공을 거두어 지부티의 상업이 이전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제일라를 통한 대상 무역을 빠르게 능가하게 만들었다.[10] 지부티는 남부 에티오피아와 오가덴에서 생산되는 하라리 커피와 카트 등의 주요 수출항이 되었다.[11] 1933년에는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에서 최초로 전기가 공급되었다. 1926년 화재로 좌초된 프랑스 선박 퐁텐블로호를 활용하여 1931년부터 새로운 심해 항구 부두 건설이 시작되었고, 1935년 1단계 완료 후 항만 및 철도 교통량이 크게 증가했다. 1937년에는 석유 터미널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부티는 1940년 6월 21일 이탈리아의 공습을 받아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프랑스 함락 후 식민지는 비시 프랑스 정부의 통치를 받았고, 연합국은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에 대한 봉쇄를 단행했다. 영국은 1940년 항구를 일시 폐쇄했고, 9월 25일 RAF는 도시를 공습했다. 프랑스 관료 피에르 누아이예타스는 잔혹한 공포 통치를 시행했으며, 봉쇄로 인한 기근('카르미'라 불림)으로 많은 주민, 특히 여성과 어린이(사망자의 70%)가 영양실조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고 내륙으로 피난했다. 병원장은 절망 속에 자살했다. 극소수의 아랍 다우선과 마다가스카르에서 온 프랑스 선박 두 척만이 봉쇄를 뚫을 수 있었다.
일본의 대미·대영 선전포고 (1941년 12월 7일) 이후 영국 해군이 극동 전선에 집중하면서 봉쇄가 완화되었다. 누아이예타스의 잔혹한 통치는 비시 프랑스 지도부조차 용납하기 어려워 1942년 10월 강제 퇴역당했다. 그는 전후 포르투갈로 도피했다가 군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아 지부티에서 큰 분노를 샀다. 동아프리카 사령부 사령관 윌리엄 플랫의 지휘 아래 연합군은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의 항복 협상을 진행했고(크리스티앙 레몽 뒤퐁 항복), 1942년 12월 26일 레이널 대령의 군대가 진입하여 12월 28일 해방을 완료했다. 자유 프랑스가 임명한 첫 총독은 앙드레 바이에르델이었다.
1946년 지부티는 해외 영토 지위를 얻어 선출된 영토 국민 의회와 지역 문제 관리를 위한 정부 위원회(1956년)가 구성되었다. 심해 항만 개발을 위한 조치들이 시행되어 아덴과 경쟁할 수 있게 되었고, 항만 시설 확장으로 연간 2,000척의 선박 수용이 가능해졌다. 지부티는 자유 항구가 되었고 1948년에는 금본위제에 고정된 새로운 통화 '코트 프랑세즈 데 소말리'가 도입되었다.

1966년 8월, 당시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의 방문은 시위와 폭동으로 이어졌다.[5][12] 이에 드골은 또 다른 국민투표를 명령했고,[12] 1967년 3월 19일 두 번째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초기 결과는 프랑스와의 관계 유지를 지지했으나, 프랑스 당국의 투표 조작 혐의로 논란이 있었고 유권자들은 독립을 거부했다. 결과 발표 후 시민 불안이 발생하여 여러 명의 사망자가 나왔다.[13][14]
지부티의 인구는 1947년 약 17,000명에서 급증했다. 1949년 도시 계획은 격자형 거리, 소규모 가구 중심의 대형 블록, 중심 개방 공간 배치, 문화 기관 집중을 통한 시민 센터 형성을 특징으로 했다. 이후 지부티는 아파르족과 이사족의 프랑스 영토의 본부가 되었다.

지부티가 1977년 6월 27일 독립을 선언했을 때, 지부티 시의 인구는 110,000명이 넘었으며, 지부티 공화국의 행정 및 상업 수도가 되었다.[15]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독립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부티는 1940년 6월 21일 이탈리아의 공습을 받아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대공포의 격렬한 반격에도 불구하고, 사보이아-마르체티 SM.81 폭격기는 밤새 항만 시설을 공격했다. 프랑스가 함락된 후, 식민지는 추축국에 협력하는 비시 프랑스 정부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에 연합국은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에 대한 봉쇄를 단행했다. 9월 25일에는 RAF가 도시에 여러 차례 공습을 가했다. 당시 프랑스 관료였던 피에르 누아이예타스는 유럽인과 아프리카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잔혹한 통치를 자행했다.
봉쇄로 인해 극심한 기근이 발생했으며, 영양실조 관련 질병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사망자의 70%는 여성과 어린이였고, 많은 시민들이 내륙으로 피난했다. 현지인들은 이 봉쇄 기간을 '카르미'라고 불렀는데, 이는 원래 가축 사료로 쓰이던 수수의 한 종류였지만 기근이 심해지자 사람들이 식량으로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병원장은 절망 속에서 자살했다. 봉쇄를 뚫고 지부티와 오보크로 들어올 수 있었던 것은 소수의 아랍 다우선과 마다가스카르에서 온 프랑스 선박 두 척뿐이었다.
일본의 대미·대영 선전포고(1941년 12월 7일) 이후, 영국 해군이 대부분의 함선을 극동 전선으로 이동시키면서 봉쇄는 다소 완화되었다. 누아이예타스의 통치는 비시 프랑스 지도부조차 용납하기 어려울 정도로 잔혹했다. 결국 그는 1942년 10월 소환되어 연금 없이 강제 퇴역당했다. 전쟁 후 포르투갈로 도피했던 그는 군사 재판소에 출두하기 위해 돌아왔으나, 1953년 7월 17일 무죄 판결을 받아 지부티 주민들의 분노를 샀다. 동아프리카 사령부 사령관 윌리엄 플랫은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의 항복 협상을 진행했으며, 크리스티앙 레몽 뒤퐁이 항복 의사를 밝혔다. 레이널 대령이 이끄는 군대는 1942년 12월 26일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로 진입하여 해방을 완료했고, 12월 28일 공식적인 인수가 이루어졌다. 자유 프랑스 하에서 첫 총독으로 앙드레 바이에르델이 임명되었다.
1946년 지부티는 프랑스 제4공화국의 해외 영토 지위를 받았다. 선출된 영토 국민 의회가 설립되었고, 1956년에는 지역 문제 관리를 담당하는 정부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동시에 심해 항구 개발을 위한 재정, 관세, 통화 조치가 시행되어 항만 시설이 크게 확장되었고, 연간 2,000척의 선박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부티는 자유 항구가 되었고, 1948년에는 금본위제에 고정되어 달러로 교환 가능한 새로운 통화(지부티 프랑)가 도입되었다.
1966년 8월, 당시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샤를 드골의 방문은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와 폭동을 촉발했다.[5][12] 이에 드골은 영토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다시 명령했다.[12] 1967년 3월 19일에 실시된 두 번째 국민투표 결과는 프랑스와의 관계 유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프랑스 당국의 투표 조작 혐의로 논란이 일었다. 유권자들은 50% 포인트 차이로 독립을 거부했다는 결과 발표 이후, 여러 건의 사망자를 포함한 시민 불안이 발생했다.[13][14] 이 시기 지부티는 아파르족과 이사족의 프랑스 영토의 본부가 되었다.
1977년 6월 27일, 지부티는 독립을 선언했다. 당시 인구는 11만 명이 넘었으며, 지부티 시는 신생 지부티 공화국의 행정 및 상업 수도가 되었다.[15]
3. 지리
지부티 시는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한 지부티 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국가 전체 인구의 약 70%가 이곳에 거주한다. 타주라 만에 자리한 항구 도시이며, 바다 건너편 아라비아 반도의 예멘과 마주보고 있다.
도시의 주요 명소로는 동부 해안, 대중앙시장, 국립 경기장인 스타드 나시오날 엘 하지 하산 굴레드, 대통령궁, 해변 등이 있다. 과거 유럽인들의 이주 영향으로 도시 곳곳에는 이국적인 건축물들이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1. 기후
지부티는 건조 기후 (쾨펜: ''BWh'')에 속한다. 이 기후는 매우 덥고 건조한 여름과 매우 따뜻하고 상대적으로 습한 겨울이 특징이다. 연간 강수량의 대부분은 10월에서 5월 사이에 집중되며, 출처에 따라 연평균 강수량은 163.5mm[60][61] 또는 131mm[51] 등으로 보고된다.지부티의 기후는 크게 두 계절로 나눌 수 있다. 5월부터 10월까지는 덥고 건조한 계절이며, 11월부터 4월까지는 기온이 비교적 낮고 강수량이 더 많은 겨울 계절이다. 해안 지역의 강우는 주로 11월과 3월 사이에 발생하며, 내륙 지역에서는 4월과 10월 사이에 비가 내린다. 여름철에는 기온이 40°C를 넘는 경우가 흔하며, 상대 습도는 연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인다.
일조량은 연중 풍부하여 하루 평균 8~10시간의 햇볕을 받는다. 강수량이 많은 기간에는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해수면 위를 지나면서 해안 안개가 발생하고 구름이 많아져 일조량이 줄어들기도 한다. 그러나 강수량은 변동성이 매우 커서, 일년 내내 비가 오지 않는 긴 기간이 발생하기도 한다. 때로는 이례적인 폭우가 쏟아지기도 하는데, 1949년 11월에는 224mm의 강수량이 기록된 바 있다.[16]
여름철 평균 최고 기온은 41.7°C에 달하고, 평균 최저 기온은 31.1°C 정도이다. 겨울철 평균 최저 기온은 21.5°C 수준이며, 낮 최고 기온은 평균 29°C이다. 햇볕이 없는 날은 거의 없으며, 겨울에도 맑은 날이 대부분이다.
지부티 시 주변 지역은 해안 저지대로, 사막이나 반사막 지대의 경관을 이룬다. 연중 기온이 매우 높고 강수량이 적지만, 습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5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 32.1°C | 32.6°C | 36.1°C | 36.4°C | 44.5°C | 45.9°C | 45.9°C | 45.8°C | 43.6°C | 38.3°C | 34.8°C | 32.6°C | 45.9°C |
평균 최고 기온 (°C) | 28.7°C | 29°C | 30.2°C | 32°C | 34.9°C | 39°C | 41.7°C | 41.2°C | 37.2°C | 33.1°C | 30.8°C | 29.3°C | 33.9°C |
일평균 기온 (°C) | 25.1°C | 25.7°C | 27°C | 28.7°C | 31°C | 34.2°C | 36.4°C | 36°C | 33.1°C | 29.3°C | 26.9°C | 25.4°C | 29.9°C |
평균 최저 기온 (°C) | 21.5°C | 22.5°C | 23.8°C | 25.4°C | 27°C | 29.3°C | 31.1°C | 30.6°C | 28.9°C | 25.6°C | 23.1°C | 21.6°C | 25.9°C |
역대 최저 기온 (°C) | 16°C | 16.2°C | 17°C | 18.5°C | 19.8°C | 24°C | 23.3°C | 24.1°C | 23.1°C | 17.2°C | 17.8°C | 16.8°C | 16°C |
평균 강수량 (mm) | 10mm | 18.8mm | 20.3mm | 28.9mm | 16.7mm | 0.1mm | 6.2mm | 5.6mm | 3.1mm | 20.2mm | 22.4mm | 11.2mm | 163.5mm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2 | 3 | 1 | 2 | 1 | 0 | 1 | 1 | 0 | 2 | 2 | 1 | 15 |
평균 상대 습도 (%) | 74 | 73 | 73 | 75 | 70 | 57 | 43 | 46 | 60 | 67 | 71 | 71 | 65 |
월평균 일조 시간 | 243.9 | 218.7 | 262.4 | 274.0 | 314.7 | 283.5 | 259.0 | 276.8 | 278.7 | 296.7 | 285.8 | 271.6 | 3265.8 |
출처 1: 홍콩 천문대 (기온 및 강수량),[60] NOAA (일조 및 기록)[61] 출처 2: 독일 기상청 (강수일수 1968–1986, 습도 1953–1970)[62]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해수 온도 °C | 26°C | 26°C | 27°C | 28°C | 30°C | 31°C | 30°C | 29°C | 30°C | 30°C | 28°C | 27°C | 28.5°C |
평균 일조 시간 | 12.0 | 12.0 | 12.0 | 12.0 | 13.0 | 13.0 | 13.0 | 12.0 | 12.0 | 12.0 | 12.0 | 11.0 | 12.2 |
평균 자외선 지수 | 10 | 11+ | 11+ | 11+ | 11+ | 11+ | 11+ | 11+ | 11+ | 11 | 10 | 9 | 10.7 |
출처: Weather Atlas[20] |
4. 인구
지부티는 다민족 도시로, 2024년 기준으로 발발라와 같은 교외 지역을 포함하여 약 777,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이는 지부티에서 가장 큰 정착지이다.[21] 주요 민족 집단은 소말리아인이며, 그 다음으로는 아파르족이 많다. 두 민족 모두 쿠시어파를 사용하는 쿠시족에 속한다. 지부티 시의 인구는 20세기 동안 지속적인 이민자와 난민 유입으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1985년과 1991년에는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로부터 많은 이민자가 도착했다. 2001년에는 다수의 불법 이민자가 지부티에서 추방되기도 했다. 2015년에는 예멘 내전으로 인해 예멘 난민들이 대규모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국제적인 도시 특성 때문에 지부티 시는 "홍해의 프랑스령 홍콩"이라는 별명을 얻었다.[22] 2023년, 지부티 정부는 안보 및 공중 보건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불법 이민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캠페인을 시작했다.[23]
연도 | 인구 |
---|---|
1916 | 17,981 |
1930 | 22,046 |
1940 | 27,987 |
1950 | 35,564 |
1960 | 39,962 |
1965 | 50,071 |
1970 | 70,100 |
1977 | 110,248 |
1982 | 149,316 |
1987 | 230,891 |
1992 | 279,912 |
1999 | 312,447 |
2003 | 379,353 |
2009 | 475,322 |
2024 | 776,966 |
대다수 주민들은 소말리아어(화자 303,100명) 또는 아파르어(화자 101,200명)를 제1 언어로 사용한다. 이 두 언어는 각각 소말리아인과 아파르족의 모국어이며, 이 도시의 주요 두 인구 집단을 구성한다. 소말리아어와 아파르어는 모두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한다. 지부티의 공식 언어는 아랍어(아프리카아시아어족)와 프랑스어(인도유럽어족)이다.[24]
아랍어는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가 사용된다. 일상 대화에서는 약 40,000명의 주민이 타이즈-아데니 아랍어 방언(예멘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남부 예멘 아랍어'라고도 불림)을 사용한다. 프랑스어는 식민지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주요 교육 언어이다. 약 14,200명의 지부티인이 프랑스어를 제1 언어로 사용한다. 이민자 언어로는 오만 아랍어(화자 38,900명)와 암하라어(화자 1,400명) 등이 있다.[24]
지부티 인구의 대다수는 무슬림이다. 이슬람교는 2012년 기준으로 지부티 전체 인구의 약 94%(약 740,000명)가 믿는 주요 종교이며, 나머지 6%의 주민은 기독교 신자이다.[21] 지부티 로마 가톨릭 교구는 소수의 지역 가톨릭교 신자들을 섬기며, 2006년 기준으로 약 7,000명으로 추산되었다.[25]
5. 정치
지부티 공화국의 수도인 지부티 시는 국가 정치의 핵심적인 중심지이다. 대통령궁을 비롯한 주요 정부 기관들이 이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국가의 입법 및 행정 기능이 집중되어 있다.
지부티 시는 특별시로서 독자적인 행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여러 코뮌과 구로 나뉘어 관리된다. 선출된 시장과 시 의회가 지방 정부를 구성하여 도시 운영 및 관련 서비스를 책임진다. 또한 국민 의회와 같은 중앙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정부 간 개발 기구(IGAD)와 같은 국제 및 지역 기구의 본부도 위치하여 정치·행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5. 1. 행정 구역

지부티는 도시이자 행정 구역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부티 (지역)은 지부티의 6개 지역 중 하나로, 북쪽과 동쪽으로는 타주라만과 아덴만과 접하며, 남쪽과 서쪽으로는 아르타 (지역)과 접한다. 지부티 (지역)은 지부티에서 가장 작은 지역이지만, 국가의 수도인 지부티를 포함하고 있어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지부티 (지역)의 면적은 200km2이다.

지부티 시는 레지옹(Région, 주)에 속하지 않는 특별시이다[47][48]。 2002년 이전에는 지부티 현에 속했지만, 2002년 7월 7일에 지부티 현은 지부티 시(Ville de Djibouti프랑스어)와 신설된 알타 주로 분할되었다[49]。 지부티 시는 2005년 11월 1일 "지부티 시 지위법"에 의해, 주와 동격의 지위에 있는 '''지부티 시'''(Djibouti-ville, 앞서 언급된 지부티 시와는 별개)가 성립되었다.
지부티 특별시는 3개의 코뮌 (Commune)으로 나뉘며, 코뮌 아래에는 6개의 구(arrondissement)가 있다[50]。
코뮌 | 관할 구 |
---|---|
발발라 (Balbala) | 4구, 5구 |
Boul'aos영어 (Boulaos) | 1구, 2구, 3구 |
라스디카 (Ras-Dika) | 6구 (타주라 만의 무샤 섬 등 도서 포함) |
5. 2. 지방 정부
지부티 시의 행정은 라스-디카(Ras-Dika), 불라오(Boul'aos), 발발라(Balbala)의 3개 구역으로 구성된다. 시장을 수장으로 하는 시 의회는 선출된 의원들로 이루어지며, 시장은 5년 임기로 선출되고 부시장을 임명한다. 집행 권한은 시장에게 있으며, 국회는 시장의 결정을 검토하고 매년 예산안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권한을 가진다. 지방 정부는 지방 계획, 학교 운영, 사회 서비스 제공, 지방 도로 관리, 쓰레기 수거 등 대부분의 지방 서비스를 책임진다. 폐기물 관리와 같은 특정 업무는 공동 협약을 통해 처리된다.
지부티 시는 특정 주(Région)에 속하지 않는 특별시이다.[47][48] 2002년 이전에는 지부티 현에 속했으나, 2002년 7월 7일 지부티 현이 지부티 시(Ville de Djibouti|빌 드 지부티fra)와 신설된 알타 주로 분할되었다.[49] 이후 2005년 11월 1일 '지부티 시 지위법'이 제정되면서, 주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지부티 시'''(Djibouti-ville)가 공식적으로 성립되었다.
지부티 특별시는 3개의 코뮌(Commune)으로 나뉘며, 코뮌 아래에는 총 6개의 구(arrondissement)가 있다.[50]
- 발발라(Balbala): 4구, 5구를 관할한다.
- Boul'aos|불라오스eng(Boul'aos): 1구, 2구, 3구를 관할한다.
- 라스-디카(Ras-Dika): 6구를 관할하며, 타주라 만의 무샤 섬(Moucha Island) 등 도서 지역을 포함한다.
5. 3. 중앙 정부
지부티 시는 지부티 정부의 소재지이다. 대통령궁에 있는 대통령 관저를 비롯한 많은 정부 부처들이 이곳에 자리 잡고 있다.국민 의회는 국가의 입법 기관으로, 5년마다 선출되는 6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현재는 단원제이지만, 헌법에서는 상원의 창설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지부티 사회 개발청(Agence de Développement Sociale de Djiboutifra)과 정부 간 개발 기구(IGAD) 무역 블록도 이곳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3년 6월 지부티,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정부가 공동으로 설립한 언어 규제 기관인 지역 소말리아어 아카데미(Regional Somali Language Academyeng)도 이 도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27]
6. 경제
지부티 시의 경제는 지부티 국가 전체와 마찬가지로 무역이 중심이며, 대부분의 지역 사업체가 이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부티 텔레콤과 같은 주요 통신 회사와 과거 지부티 항공[31] 등이 이곳에 기반을 두었다. 지부티 시는 건설, 소매, 수입 및 수출, 송금 회사, 인터넷 카페 등 다양한 기업가 활동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한다.
지부티 시의 주요 무역항인 '''지부티 항'''은 유럽, 극동, 아프리카의 뿔 및 페르시아 만을 연결하는 중요한 무역 허브이다. 매일 약 2,500척의 선박이 항구를 통과하고 기항한다.[32] 도시 서쪽에 위치한 지부티 국제 자유 무역 지대(DIFTZ)는 다른 경제 규정을 적용받는 특별 경제 구역이다. 지부티 항은 에티오피아의 석유 수송 및 수출의 종착지 역할을 하며, 철도 인프라의 발달로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의 석유 제품 운송이 더욱 용이해졌다. 동아프리카 최고 수준의 현대적 항만 시설을 갖춘 지부티 항은 중계 무역의 거점이다.[54] 2017년에는 지부티 항에서 10km 서쪽에 새로운 항만 구역인 드라레 다목적 항이 개항했다.[55]
지부티의 은행 부문은 경제의 주요 기반 중 하나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환전소와 송금 건수가 급증하면서 금융 부문은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지부티 금융 부문의 총 자산은 2650억지부티 프랑(GDP의 10.2%)에 달하며, 국제 금융 위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이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지부티가 정치적 안정성을 유지해 온 덕분으로 여겨진다.[33]
1993년 에리트레아가 독립하면서 내륙국이 된 에티오피아에게 지부티의 항만, 철도, 도로는 매우 중요하다. 에티오피아의 대외 무역은 현재 지부티 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56] 기존의 지부티-에티오피아 철도는 노후화되어 도로 수송이 주를 이루었으나, 2016년 중국의 지원으로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가 새로 개통되면서 양국 간 수송 상황이 크게 개선되었다.[56] 지부티에게 무역과 육상 및 해상 운송 산업은 국고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다. 또한 지부티 전체가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서비스업도 활발하다. 건국 이전부터 시내에 주둔해 온 프랑스 군사 기지 역시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57][58] 2000년대 후반부터는 소말리아 해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나라가 지부티 시에 군사 기지를 설치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59]
시내에는 지부티 국제 공항이 있으며, 에티오피아를 비롯해 케냐, 소말리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프랑스 등과 연결된다.
6. 1. 관광
지부티에는 여러 개의 공원이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곳은 라가르드 공원이다.

지부티 관광은 지부티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도시의 랜드마크로는 역사적인 건물, 두 개의 중요한 공공 광장, 그리고 인민 홀이 있다. 많은 사설 여행사들이 이 지역의 관광 투어를 제공한다.
두 개의 작은 마스칼리 섬과 무샤 섬은 지부티에서 배로 한 시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이 섬들은 산호 맹그로브를 특징으로 하며, 풍부한 해저와 다채로운 조류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현지 산호 정원에서는 능성어, 전갱이, 그리고 바라쿠다를 포함한 다양한 어종을 찾아볼 수 있다.[34]
7. 교통
지부티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로서, 국내외를 연결하는 다양한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도로, 항공, 해상, 철도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접 국가인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각 교통수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7. 1. 도로
지부티는 주요 교통 허브로서 광범위한 대중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도시 밖으로 뻗어 나가는 도로들은 지부티를 다른 국내 지역뿐만 아니라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와 연결한다. 대중 교통은 Djibouti Bus Service Enterprise영어 소속 버스를 통해 제공된다. 도시는 국가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 및 고속도로의 교차점 역할을 한다. 지부티는 연중무휴 24시간 대중 교통 및 개인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국내에서 접근성이 가장 좋은 도시 지역 중 하나이다. 많은 도시 거주자들은 지역의 비공식 미니버스나 400대의 녹색과 흰색 택시를 이용한다. 지부티의 주요 버스 터미널은 Rue de Bender|뱅더 거리프랑스어 교차로에 위치한 중앙 버스 터미널이다.7. 2. 항공

지부티의 항공 교통은 주로 지부티-암부리 국제공항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공항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으로, 여러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공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항공사로는 에어 지부티, 예메니아, 에어 프랑스, 플라이두바이, 에티오피아 항공, 터키 항공, 케냐 항공, 카타르 항공 등이 있다.
지부티-암부리 국제공항은 지부티에서 가장 큰 공항이며, 아프리카의 뿔 지역과 세계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한다. 공항은 시내 중심에서 약 6km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1948년에 처음 문을 열었다. 개항 당시에는 규모가 작았으나, 지부티가 독립한 이후 여러 차례의 개조 공사를 거치면서 현재의 규모로 확장되었다.
지부티를 오가는 전체 항공 승객의 대부분은 지부티-암부리 국제공항의 국제선 노선을 이용한다. 공항의 전략적인 위치 덕분에 지부티의 민간 항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항공편이 출발하고 도착하며, 때때로 착륙 전에 상공에서 대기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7. 3. 해상

지부티 항구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가장 크고 붐비는 항구 중 하나이며, 동아프리카 최고 수준의 현대적 항만 시설을 갖추고 중계 무역에 이용된다.[54] 2013년 기준, 항구의 컨테이너 터미널은 국가 무역의 대부분을 처리하며, 항구 활동의 약 70%는 내륙국인 이웃 에티오피아의 수입 및 수출로 구성된다. 에티오피아는 1993년 에리트레아 독립 이후 지부티 항구를 주요 해상 출구로 의존하고 있으며, 지부티의 항만과 도로는 에티오피아 대외 무역에 매우 중요하다.[21][56] 지부티 항구는 국제적인 급유 센터이자 환적 허브 역할도 수행한다.[21]
2012년, 지부티 정부는 DP 월드와 협력하여 국가 환승 능력을 더욱 개발하기 위해 도랄레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을 시작했다.[35] 3.96억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연간 150만 개의 약 6.10m 컨테이너 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35] 2017년에는 지부티 항에서 10km 서쪽에 신항만 구역인 드라레 다목적 항이 개항했다.[55] 또한, 포르 드 페슈에서 타주라, 오복, 그리고 예멘, 소말리아, 에리트레아의 다른 목적지로 가는 일일 정기 페리 서비스가 있다.
지부티에게 무역과 육상, 해상 운송 산업은 국고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최대 산업이며, 국가 전체가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서비스업도 활발하다. 건국 이전부터 프랑스의 군사 기지가 존재했으며,[57][58] 2000년대 후반부터는 소말리아 해적 토벌을 위해 여러 국가가 지부티 시에 군사 기지를 설치했다.[59]
7. 4. 철도

지부티는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와 연결되는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의 종착역이다. 이 철도는 과거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시절인 1902년에 디레 다와까지, 1917년에 아디스아바바까지 개통되었던 1000mm 협궤의 에티오-지부티 철도를 대체한다.[46] 이 오래된 철도는 개통 당시 지부티 시가 에티오피아 제국의 중요한 외항으로 기능하며 경제적 중요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46]
그러나 기존 에티오-지부티 철도는 노후화가 진행되어 도로 수송이 주된 운송 수단이 되었다.[56]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2016년 중국의 지원을 받아 표준궤 기반의 새로운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가 개통되었고, 이는 양국 간 수송 상황을 크게 향상시켰다.[56] 새로운 표준궤 철도는 대부분 기존 노선과 나란히 운행되지만,[36] 더 빠른 속도를 위해 새롭고 직선적인 노반 위에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역들이 시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기존 역들은 폐쇄되었다.[37][38]
2017년 1월 10일, 지부티 구간 중 100km가 공식 개통되었으며, 개통식은 나가드의 신설 역에서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지부티 대통령과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당시 에티오피아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현재 지부티 시에는 여객 운송을 담당하는 나가드역과 화물 운송을 위한 도랄레 항의 화물역이 운영 중이다.
이 철도는 1993년 에리트레아가 독립하면서 내륙국이 된 에티오피아에게 매우 중요한 교통 기반 시설이며, 에티오피아 대외 무역의 상당 부분을 지원하고 있다.[56]
8. 문화
주요 언어는 이싸족이 사용하는 소말리아어와 아파르족이 사용하는 아파르어이다. 지리적인 요인과 과거 식민지 지배를 받은 영향으로 공용어인 아랍어와 프랑스어도 널리 사용된다. 지부티는 소말리아, 아파르, 아랍, 프랑스 등 다양한 민족과 문명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8. 1. 주요 시설

숭배 장소 중에서는 주로 이슬람교 사원이 많다.[26] 에티오피아 정교회, 지부티 로마 가톨릭 교구 (가톨릭교회), 개신교 교회, 복음주의 교회와 같은 기독교 교회와 사원도 존재한다.
지부티의 건축 양식은 18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도시의 역사를 반영하며, 토착 지부티인, 예멘, 프랑스의 영향과 현대적인 건물이 혼합된 특징을 보인다. 구시가지에는 좁은 거리를 따라 바자와 수크가 자리 잡고 있다. 반면 현대적인 시가지는 넓은 거리, 레스토랑, 광장 (타운 광장), 카페 등을 갖추고 있으며, 많은 대로에는 나무가 늘어서 있다. 이곳은 상업과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이자 주거 지역으로도 기능한다. 증가하는 중산층을 수용하기 위해 도시 안팎으로 새로운 아파트와 주택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건물의 정면은 19세기의 모습을 간직한 채 개조되었다. 시내 중심에 위치한 6월 27일 광장은 무어 양식에서 영감을 받은 아치 구조물로 유명하다. 이러한 이국적인 건물과 구조물 때문에 이 도시는 유럽 정착지에 비유되기도 했다.[22] 지부티 독립 이후에는 새로운 인프라와 기술이 도입되면서 혁신적인 건축 개념과 건설 기술이 발전했다. 지부티 시의 대표적인 고층 건축물로는 메즈 타워, SALAAM 타워, 동아프리카 은행 등이 있다. 또한 정부간 개발 기구(IGAD)의 본부가 지부티 시에 위치해 있다.


살린 극장(Théâtre des Salines|살린 극장fra)은 1965년에 문을 연 국가 수도의 중요한 문화적 랜드마크이다. 콘크리트 관람석을 갖춘 아레나 형태의 야외 극장으로, 국가 독립 이전에 태어난 지부티인들에게는 상징적인 장소로 여겨진다. 수십 년 동안 연극, 콘서트, 원맨쇼 등 다양한 공연이 이곳에서 열렸다.[28]

지부티 국립 문서 보관소 및 도서관은 지부티의 많은 유물과 예술적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29] 이곳에는 오래된 동전, 물물 교환 도구, 전통 예술 작품, 고대 무기, 도기 등 문화적으로 중요한 다수의 문화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30]
대통령궁은 지부티 대통령의 공식 거주지이자 주요 집무 공간이다. 타주라 만을 조망할 수 있으며, 항구와 공항 모두 접근이 용이하다. 과거 프랑스령 소말릴란드와 아파르족 및 이사족 프랑스령 시기(1884년~1977년)에는 총독의 관저로 사용되었다.
9. 자매 도시
지부티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18-09-13
[2]
웹사이트
Djibouti: Region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4-09-08
[3]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Africa Journal Ltd.
1977
[4]
EB1911
Somaliland: History of French Somaliland
[5]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Africa
Taylor & Francis
[6]
백과사전
Jibuti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7]
논문
Some Medieval Theories about the Nile
https://www.jstor.or[...]
1949
[8]
서적
The World Book Encyclopedia
World Book
2007
[9]
EB1911
Abyssinia: (7) Provinces and Towns
[10]
EB1911
Zaila
[11]
EB1911
Jibuti
[12]
뉴스
Newsweek
Newsweek
1973
[13]
뉴스
Newsweek
Newsweek
1967
[14]
서적
The Indian Ocean: its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mportance
Praeger
1972
[15]
서적
Elections in Africa: A data handbook
1999
[16]
문서
Precipitation totals 1901–2000
KNMI Climate explorer
[1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Djibouti, Djibouti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10-15
[18]
웹사이트
Djibouti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1-13
[19]
웹사이트
Klimatafel von Djibouti (Flugh.) / Dschibuti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8-13
[20]
웹사이트
Djibouti, Djibouti – Monthly weather forecast and Climate dat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2019-01-25
[21]
웹사이트
Djibouti
https://www.cia.gov/[...]
CIA
2013-02-26
[22]
서적
Africa on a Shoestring
Lonely Planet
2004
[23]
웹사이트
Government of Djibouti launches crackdown on 'irregular' migrants
https://www.france24[...]
2023-05-01
[24]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Djibouti"
http://www.ethnologu[...]
2016-08-31
[25]
웹사이트
Diocese of Djibouti
http://www.catholic-[...]
Catholic-hierarchy.org
2013-02-28
[26]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USA
2010
[27]
웹사이트
Regional Somali Language Academy Launched in Djibouti
http://www.comesaria[...]
COMESA Regional Investment Agency
2014-02-28
[28]
웹사이트
Le Théâtre des Salines : un lieu mythique
https://www.lanation[...]
2021-12-06
[29]
웹사이트
Djibouti: a new Library and National Archive building unveiled
https://www.somalidi[...]
2020-12-29
[30]
웹사이트
SOMALI HERITAGE ON DISPLAY IN 5 STAR HOTELS IN DJIBOUTI
https://www.hornheri[...]
2022-09-28
[3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archive.toda[...]
Djibouti Airlines
2011-02-20
[32]
웹사이트
Djibouti ramps up efforts to get seafarers stranded by coronavirus off ships {{!}} Hellenic Shipping News Worldwide
https://www.hellenic[...]
2021-06-23
[33]
웹사이트
Banking – National Investment Promotion Agency – INVEST IN DJIBOUTI
http://www.djiboutin[...]
Djiboutinvest.com
2020-05-24
[34]
학술지
On the nesting status of some seabirds in Djibouti
2007-01-01
[35]
웹사이트
Current Development Projects and Future Opportunities in Djibouti
https://web.archive.[...]
Association of African Entrepreneurs
2013-02-26
[36]
뉴스
Chinese investment triggers new era of east African rail building
http://www.ft.com/cm[...]
2017-01-25
[37]
뉴스
Ethiopia has a lot riding on its new, Chinese-built railroad to the sea
https://www.washingt[...]
2016-10-04
[38]
뉴스
China's Latest Ethiopian Railway Project Shows Their Growing Global Influence
http://www.businessi[...]
2017-01-25
[39]
웹사이트
St. Paul approves new sister city: Djibouti City – Twin Cities
http://www.twincitie[...]
2017-05-16
[40]
웹사이트
208 sister cities in 93 countries
http://www.diyanet.g[...]
2019-04-06
[41]
웹사이트
Addis Ababa, Djibouti sign MoU on becoming sister cities – Communication and Media – aaca
https://web.archive.[...]
Addisababa.gov.et
2020-05-24
[42]
웹사이트
Djibouti City
https://citypopulati[...]
Citypopulation
2024-10-10
[43]
문서
ジブチ市が対外的に使用している英語名は"{{Lang|en|Djibouti City}}"でなく"{{Lang|en|City of Djibouti}}"である。
[44]
서적
「東部・南部アフリカ」(ベラン世界地理体系10)p35 田辺裕・竹内信夫監訳 朝倉書店 2019年6月10日初版第1刷
[45]
서적
田辺裕、島田周平、柴田匡平、1998、『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p.267、朝倉書店 ISBN 4254166621
[46]
서적
[[岡倉登志]]「コラム16 アジス・アベバ=ジブチ鉄道」『エチオピアを知るための50章』岡倉登志編著、明石書店〈エリア・スタディーズ68〉、東京、2007年12月25日、初版第1刷、363頁。
[47]
웹사이트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https://decentralisa[...]
地方分権省
2024-10-11
[48]
웹사이트
Loi n° 139/AN/06/5ème L portant modification de la Loi n° 174/AN/02/4ème L du 07 juillet 2002 portant décentralisation et statut des régions.
https://www.journalo[...]
eJO
2024-10-11
[49]
웹사이트
Regions of Djibouti
http://statoids.com/[...]
Statoids
2024-10-10
[50]
웹사이트
Loi n°122/AN/05/5èmeL portant sur le statut de la Ville de Djibouti
https://decentralisa[...]
2024-10-11
[51]
서적
田辺裕、島田周平、柴田匡平、1998、『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p.265、朝倉書店 ISBN 4254166621
[5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Djibouti, Djibouti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10-15
[53]
웹사이트
BBC Weather : Djibouti
http://www.bbc.co.uk[...]
2012-07-11
[54]
Youtube
紅海地域のロジスティクス拠点を目指すジブチ港
https://www.phaj.or.[...]
井上聰史「港湾」2009年7月号
2019-10-07
[55]
Youtube
現代式の多目的港の開業
http://djiboutiembas[...]
駐日ジブチ共和国大使館
2019-10-07
[56]
Youtube
アフリカの角における港湾選択と政治状況
http://www.jpmac.or.[...]
松田琢磨 日刊CARGO 201902
2019-10-07
[57]
서적
田辺裕、島田周平、柴田匡平、1998、『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p.269、朝倉書店 ISBN 4254166621
[58]
서적
「東部・南部アフリカ」(ベラン世界地理体系10)p36 田辺裕・竹内信夫監訳 朝倉書店 2019年6月10日初版第1刷
[59]
Youtube
米国が危機感、アフリカの小国に中国が軍事基地設置
https://jbpress.isme[...]
JPpress 北村淳 2015.7.30
2019-10-07
[60]
웹인용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Djibouti, Djibouti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10-15
[61]
웹인용
Djibouti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1-13
[62]
웹인용
Klimatafel von Djibouti (Flugh.) / Dschibuti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